[한국사회복지저널 정세연 기자]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김용익)은 2012년~2017년까지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소화불량(K30)' 질환으로 진료를 받은 인원은 2012년 68만 명에서 2016년 60만 명으로 감소하였다가 2017년 61만 6천명으로 증가하였다.
2017년 기준 총 진료인원은 남성 24만 6천 명, 여성 37만 명으로 여성이 남성에 비해 1.5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로 세분화하여 분석한 결과 여성은 인구 10만 명 당 1,458명, 남성은 인구 10만 명당 963명으로 인구수를 고려하여도 여성이 남성 보다 1.5배 많았다.
2017년 기준 연령대별 진료현황을 살펴보면, 60대(9만 7천 명, 15.8%)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 70대 이상(9만 명, 14.6%), 50대(8만 1천 명, 13.1%) 순으로 나타났다.
남성은 70대 이상(3만 6천 명, 14.6%)이 가장 많았고, 60대(3만 6천 명, 14.5%), 50대(3만 1천 명, 12.6%) 순이며, 여성은 60대(6만 1천 명, 16.6%)이 가장 많았고, 70대 이상(5만 4천명, 14.6%), 50대(5만 명, 13.5%) 순으로 나타났다.
2017년 기준, 연령별 인구 10만 명당 진료인원은 70대 여성이 2,594명 으로 가장 많았고, 그 뒤를 이어 60대 1,921명, 50대 1,476명 순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소화기내과 원성영 교수는 남성보다 여성환자가 가장 많은 이유에 대해 “일반적으로는 대부분의 연구에서 남여 차이는 없다고 알려져 있다. 일부 연구에서 여성이 조금 많은 것으로 보고 되고 있으며 명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으며 아마도 통증의 역치가 여성이 남성에 낮게 때문인 것으로 생각되어 진다.”라고 설명하였다.
‘소화불량’ 질환을 치료하지 않고 방치 시 문제에 대해 “소화불량증은 생명을 위협하거나 다른 질환으로 진행되는 질환은 아니다. 하지만 이러한 증상으로 환자가 느끼는 삶의 질이 낮아져 있으므로 적절한 방법으로 해소하는 것이 좋다. 또한 위험한 경고 증상을 기능성 소화불량으로 간과하여 기질적 질환의 진단 시기를 놓쳐서는 안된다.”고 밝혔다.
‘소화불량’으로 인한 건강보험 진료비는 2012년 357억 원에서 2017년 379억 원으로 1.1배 증가하였으며, 건강보험공단에서 지급한 2017년 급여비는 248억 원이었다.